거미집 (2023) 리뷰 :: 1970년대 검열의 시대 속 감독과 제작자, 배우들의 욕망을 담은 블랙코미디 영화
거미집
- COBWEB, 2023
1970년대, 성공적인 데뷔작 이후 삼류작만 내놓은다며 악평과 조롱에 시달리던 김감독(송강호)은 며칠 째 이미 촬영이 끝난 영화 <거미집>의 뒤바뀐 결말을 꿈으로 꾸고 영감을 받는다. 결말만 바꾸면 영화가 걸작이 되고 자신이 다시 명예를 되찾을 수 있다는 욕망에 사로잡힌 김감독. 그렇게 뒤늦게 결말을 다시 바꿔서 재촬영을 요구하지만 제작자 백회장(장영남)도 쉽게 승낙하지 않고 대본 역시 심의에 걸린다. 그럼에도 김감독은 제작자 후계자인 신미도(전여빈)에게 대본을 보여주며 설득에 성공, 재촬영 허가(?)를 받게 된다.
하지만 이미 세트장은 이틀 뒤에 다른 팀에게 넘겨줘야하고, 이틀 안에 모든 장면을 다시 촬영해야한다. 급하게 다시 불러들인 톱배우들 이민자(임수정), 강호세(오정세), 오여사(박정수)와 떠오르는 신예 한유림(정수정)은 바뀐 결말을 제대로 이해조차 하지 못했으며 스케줄이 꼬여 불만만 잔뜩 쌓인 상태. 심지어 출장을 갔던 백회장, 문화공보부 최국장(장광)까지 들이닥치며 영화 촬영이 중단될 위기까지 놓이게 된다. 이런 상황에서 김감독은 자신과 늘 비교 대상이었던 스승(정우성)의 환영을 보게 되는데.
<장화, 홍련>, <좋은 놈, 나쁜 놈, 이상한 놈>, <밀정> 등을 만든 김지운 감독의 영화로 캐스팅부터 대배우 송강호, 임수정, 오정세, 전여빈, 정수정(크리스탈)에 이어서 특별출연으로 정우성까지 거의 대작 스멜을 폴폴 풍기며 제작되었으나, 개봉 후 심한 호불호로 인해 크게 흥행하지는 못했던 영화. 블랙코미디 영화이나 1970년대 상황의 시대적 배경을 제대로 이해하지 못한 현대의 관객들에겐 상당한 불호였다고. 실제로 작 중 배경인 1970년대가 영화, 드라마 등 대부분의 컨텐츠에 검열이 심하던 시절이었으며 촬영 현장 역시 배우들에게 친절한 시스템이 아니었던 것, 촬영 후 더빙을 했던 점 등등 알고보면 상당히 고증을 잘 시켜놓은 영화다.
영화는 실제 촬영 현장(작 중 현실)과 극중극인 영화 속 내용(대본) 두가지가 번갈아가며 보여지는데 두 이야기의 결말이 모두 하나의 메시지를 가리킨다. 실제 촬영 현장은 욕망에 눈에 먼 김감독이 자신의 무의식이 만들어낸 스승의 환영을 보고 자신의 고집대로 촬영을 강행한다. 심지어 마지막 화재 장면을 촬영하던 중 실제로 사람에게 불이 옮겨붙는 돌발상황에도 김감독은 오로지 촬영에만 몰입하는 광기마저 보여준다. (물론 작 중 실제 피해는 없는 것으로 묘사된다.) 결말에 나오지만 실제로 이 대본은 스승이 불에 타 죽어가던 시점에서 훔친 대본이었고, 그걸 목격한 백회장 역시 욕망에 눈이 멀어 돈을 쓸어담다가 마주했기에 모른 척 넘어가준 것. 그런데 참 아이러니하게도 대본 <거미집>의 결말 역시 비슷하다.
대본 <거미집>은 겉으론 고상하고 우아한 척 하는 상류층의 집안처럼 보이나 실제론 성욕과 물욕으로 점칠되어 있는 가족의 몰락을 그리고 있다. 자신의 부를 위해서 집안 여자들을 도구로 여기는 오여사, 아내 민자를 놔두고 유림과 불륜을 저지르는 호세, 이에 복수를 다짐하여 이용만 당하고 쫒겨난 사냥꾼과 유림을 자신의 복수에 또 다시 이용하는 민자. 이들은 결국 모두 죽음을 맞이한다. 심지어 황당하게도 집안에 키우던 거미의 거미줄에 묶인 상태로 발견되며 막을 내리는데, 극중극(대본)과 영화(촬영 현장)의 결말이 모두 한가지를 말한다. 욕망에 집어삼켜진 사람들의 결말은 파멸 뿐이다. 대본 <거미집> 속 인물들처럼 실제로 박수갈채를 받았음에도 김감독은 씁쓸한 듯 미묘한 표정을 하며 영화가 끝나는데, 이는 그가 아직도 자신의 욕망을 채우지 못했으며 더 나아가 자신의 열등감을 상징하는 스승에게 더 매여버렸다고 해석할 수 있다.
추신) 나 또한 당시에 처음 보았을 때 매우 난해해서 해석을 여러번 찾아보았던 영화이기도 하다. 그런데 두번째로 다시 보니 김감독 뿐 아니라 배우들 역시 호세와 유림의 불륜, 유림의 임신 등 문란한 사생활을 보여주는 장면이 눈에 들어오더라. 심지어 영화 속 세트장의 빙글빙글 돌아가는 계단의 모양새나, 촬영 현장에서 빠져나가지 못하도록 입구를 봉쇄하는 장면 등 실제 촬영 현장 자체에서 거미집을 연상시키는 요소들이 꽤 있다. (거미집도 한번 들어오면 쉽게 빠져나갈 수 없으니까) 어쩌면 감독은 '거미집' 이라는 매체 자체를 한번 발을 들이면 쉽게 빠져나갈 수 없는 '욕망'으로 본 것이 아닐까.
영화 속 명배우들 역시 매우 인상적이고 좋았으나, 무엇보다도 학창시절 심하게 덕질했었던 크리스탈을 배우 정수정으로 다시 볼 수 있었어서 매우 반갑고 좋았던 영화. ㅋㅋㅋ